한국인이 배우기 가장 어려운 언어들

 한국인이 배우기 어려운 언어로는 주로 아랍어, 러시아어, 핀란드어, 독일어 등이 꼽힙니다. 이들 언어는 발음, 문법 체계, 쓰기 방식에서 독특하거나 복잡한 특징이 있어 한국어 화자들이 학습하기 까다롭습니다.


아랍어

 아랍어는 우선 문법이 한국어와 많이 다르면서 복잡하여 학습이 어렵습니다. 명사와 형용사의 일치 규칙이 까다롭고, 문법 구조가 성별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동사의 시제와 태(완료형/미완료형 등) 변화가 많아 초보자에게 복잡합니다. 게다가 문자 자체가 판이하게 다르고 쓰는 방향도 오른쪽에서 왼쪽이라 반대이므로 익숙해지기 어렵습니다. 발음 또한 큰 장애입니다. 아랍어에는 강한 후두음과 한국어에 없는 자음들이 있어 발음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ع", "خ"와 같은 발음은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표준 아랍어와 지역 방언(예: 이집트, 레반트, 걸프 지역 방언) 간 차이가 큽니다. 학습자가 표준어를 배워도 실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아랍어에는 종교적 배경과 관련된 표현이 많아 이해에 시간이 걸립니다.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지 않으면 의미 전달이 어렵습니다.



러시아어

 발음과 문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영어와 다른 알파벳 체계를 사용해 익히기 힘듭니다. 러시아어는 키릴 알파벳(кириллица)을 사용하며, 영어와 다른 문자 체계로 읽기와 쓰기 적응이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Р"는 'R'이 아닌 'P' 발음을 가지며, 이러한 차이로 혼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성문 파열음 등 한국어에 없는 발음이 포함되어 있어 연습이 필요합니다. 강세 규칙이 일정하지 않아 단어별로 강세 위치를 외워야 합니다. 

 러시아어는 굴절어로 명사, 형용사, 대명사가 성(남성, 여성, 중성)과 수(단수, 복수)에 따라 변합니다. 여섯 가지 격(주격, 속격, 여격 등)이 존재해 문장의 단어들이 다양한 형태로 변화합니다. 동사의 활용 또한 굉장히 복잡합니다. 러시아어 동사는 완료형과 미완료형으로 나뉘며, 각각 다른 의미와 시제를 나타냅니다. 동사의 활용이 복잡해 상황에 맞는 형태를 배우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어 회화에서는 일상 속어와 문화적 관용 표현이 많이 사용되어 외국인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직역이 불가능한 표현이 많아 의미를 문맥으로 익혀야 합니다.


핀란드어 

 핀란드어는 핀노우그리아어족에 속하며, 한국어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유럽 언어와도 계통이 다릅니다. 따라서 기존에 익숙한 어휘 및 문법 구조와 큰 차이를 보입니다. 유럽 언어들과도 다르게 독자적인 어휘 체계를 가지고 있어, 영어에 익숙하다고 하더라도 익히기 어렵습니다. 문법적으로는 굴절어로, 하나의 단어가 여러 의미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핀란드어는 단어가 15개 이상의 굴절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접사와 조사 사용이 까다롭습니다. 이로 인해 단어의 의미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게다가 복합어와 파생어 사용: 여러 단어를 결합해 새로운 복합어를 만드는 구조가 많아 어휘 학습이 더욱 까다로워집니다. 이는 단순 암기보다 단어 구성 원리를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학습 난이도를 높입니다.

 핀란드의 고유한 자연환경, 전통, 생활방식이 언어에 반영되어 있어 한국인에게는 생소한 어휘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현지의 날씨나 자연현상과 관련된 단어들이 그렇습니다. 핀란드어는 핀란드에서만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동기 부여가 어렵고, 실생활에서 활용할 기회가 적습니다.


독일어

 독일어는 명사가 성(남성, 여성, 중성)에 따라 형태가 변하며, 4개의 격(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 모두 숙달되어야 합니다. 명사와 형용사의 성·수·격 일치가 중요해 초보자에게 부담을 줍니다. 동사에는 비분리 동사와 분리 동사가 있어, 문장 내에서 동사 위치를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문장의 어순이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주절과 종속절에서 동사의 위치가 다르게 배치됩니다.

 발음의 차이도 두드러집니다. 독일어에는 모음 변이와 한국어에 없는 자음 발음(예: "ch"나 "r"의 구강 발음)이 있어 발음을 익히기 어렵습니다. 특히, 음성 강세가 의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단어마다 올바른 강세를 익혀야 합니다.

 그리고 독일어는 긴 복합 단어를 자주 사용하며, 각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조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단어 하나에 여러 개념이 포함될 수 있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이 외에도 헝가리어와 같은 굴절이 심한 언어들이 어려운 언어로 자주 언급됩니다. 이러한 언어들은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장기간 노력을 기울여야만 유창해질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POST ADS 2